Abstract
논문에서는 광고로부터 유발되는 감성인 공감을 시선 측정 기술을 통해 수준을 구분하고자 하였다. 공감 수준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해 두가지 방법으로 통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통계 분석결과, 공감 수준에 따른 시선 반응의 유의한 차이를(p<0.001) 확인하였고, 사용자의 광고에 대한 공감이 높을수록 광고 속 인물의 얼굴 또는 눈을 보는 횟수가 증가하였다. 공감도는 5가지 세부 공감도를 각각 따로 측정하였는 데, 공감도, 전체 공감도, 인지적 공감도, 동일시 공감도, 감성적 공감도 중 감성적 공감도가 다른 공감도에 비해 뚜렷하게 평균 값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광고에 대한 정서 소구가 사용자의 공감을 더 많이 유발하는 결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피험자의 무의식적 반응과 공감 반응을 시선 데이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피험자의 공감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이는 공감 광고를 디자인하거나 제작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공감, 시선 추적, 콘텐츠 공감
Reference
목수빈, 조아영, 장징, 황민철. (2020). 사용자 시선 추적을 통한 광고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 공감 측정 방법. 한국통신학회지(정보와통신), 37(10), 23-29.
Abstract
논문에서는 광고로부터 유발되는 감성인 공감을 시선 측정 기술을 통해 수준을 구분하고자 하였다. 공감 수준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해 두가지 방법으로 통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통계 분석결과, 공감 수준에 따른 시선 반응의 유의한 차이를(p<0.001) 확인하였고, 사용자의 광고에 대한 공감이 높을수록 광고 속 인물의 얼굴 또는 눈을 보는 횟수가 증가하였다. 공감도는 5가지 세부 공감도를 각각 따로 측정하였는 데, 공감도, 전체 공감도, 인지적 공감도, 동일시 공감도, 감성적 공감도 중 감성적 공감도가 다른 공감도에 비해 뚜렷하게 평균 값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광고에 대한 정서 소구가 사용자의 공감을 더 많이 유발하는 결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피험자의 무의식적 반응과 공감 반응을 시선 데이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피험자의 공감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이는 공감 광고를 디자인하거나 제작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공감, 시선 추적, 콘텐츠 공감
Reference
목수빈, 조아영, 장징, 황민철. (2020). 사용자 시선 추적을 통한 광고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 공감 측정 방법. 한국통신학회지(정보와통신), 37(10), 2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