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사회지능의 정량적 측정을 위해 표정 인지와 표현의 상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10대에서 40대 사이 726명을 대상으로 ‘사회지능-표정인지-표정표현’ 평가가 수행되었으며, 무표정, 행복, 슬픔, 분노, 놀람, 혐오, 공포, 경멸에 대한 표정평가를 실시하였다. 표정인지 평가는 제시되는 표정과 일치하는 감성 어휘를 선택하는 객관 설문 결과가 수집되었으며, 표정표현 평가는 웹캠을 통해 취득하는 얼굴 근육의 움직임을 각 표정 별 근육 움직임의 특징과 비교하여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표정 평가에서 계산되는 7가지 표정 스케일에 맞추어 사회지능 점수결과를 7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의 평균 점수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지능이 높은 그룹일수록 표정인지 점수가 높아지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확인하였다(p < .01). 표정표현은 모든 표정 결과를 합산한 점수로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행복한 표정의 표현에서 사회지능과의 유의성이 확인되었다(p < .05). 반비례적 패턴을 가진 분노와 공포 표현을 제외한 행복, 슬픔, 놀람, 혐오, 경멸 표정표현만을 평가 항목으로 할 경우, 사회지능 결과와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p < .05). 따라서 추후 표정표현 평가에서 검사 항목을 강화하여 표정인지 평가와 함께 정량적인 사회지능의 측정이 가능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사회지능, 표정인지, 표정표현
Reference
이성원, 이현우, 조영호, 이정년, 김영주, 김혜진, 황민철 (2018). 사회지능 평가 정량화를 위한 사회지능과 표정인지와 표정표현 간의 상관성 분석. HCI Korea 2018.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지능의 정량적 측정을 위해 표정 인지와 표현의 상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10대에서 40대 사이 726명을 대상으로 ‘사회지능-표정인지-표정표현’ 평가가 수행되었으며, 무표정, 행복, 슬픔, 분노, 놀람, 혐오, 공포, 경멸에 대한 표정평가를 실시하였다. 표정인지 평가는 제시되는 표정과 일치하는 감성 어휘를 선택하는 객관 설문 결과가 수집되었으며, 표정표현 평가는 웹캠을 통해 취득하는 얼굴 근육의 움직임을 각 표정 별 근육 움직임의 특징과 비교하여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표정 평가에서 계산되는 7가지 표정 스케일에 맞추어 사회지능 점수결과를 7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의 평균 점수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지능이 높은 그룹일수록 표정인지 점수가 높아지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확인하였다(p < .01). 표정표현은 모든 표정 결과를 합산한 점수로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행복한 표정의 표현에서 사회지능과의 유의성이 확인되었다(p < .05). 반비례적 패턴을 가진 분노와 공포 표현을 제외한 행복, 슬픔, 놀람, 혐오, 경멸 표정표현만을 평가 항목으로 할 경우, 사회지능 결과와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p < .05). 따라서 추후 표정표현 평가에서 검사 항목을 강화하여 표정인지 평가와 함께 정량적인 사회지능의 측정이 가능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사회지능, 표정인지, 표정표현
Reference
이성원, 이현우, 조영호, 이정년, 김영주, 김혜진, 황민철 (2018). 사회지능 평가 정량화를 위한 사회지능과 표정인지와 표정표현 간의 상관성 분석. HCI Korea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