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얼굴의 미세 움직임(Micro-movement)의 양을 기본으로 감성에 따른 미세 움직임의 동기화 현상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험은 Leader와 Follower로 구성된 두 사람을 기준으로 한다. 피험자가 제시된 표정을 모방하는 태스크를 수행하는 동안 각 피험자의 얼굴 영상을 촬영하였다.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얼굴을 11부위로 나누어 각 부위의 움직임의 양을 구하고, 포락선(Envelop)정리를 적용하여 중앙값을 구하였다. 두 피험자의 긍정(Happay)과 부정(Anger) 감성에 따른 미세 움직임의 동기화 정보를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얼굴부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영상을 이용한 얼굴 미세 움직임의 양을 통해 두 사람의 동기화된 감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미세 움직임, 얼굴 영상, 동기화
Reference
이유진, 우진철, 조영호, 최호중, 황민철 (2016). 감성에 따른 두 사람의 얼굴 미세움직임 동기화 현상. HCI Korea 2016, 364-366.
Abstract
본 연구는 얼굴의 미세 움직임(Micro-movement)의 양을 기본으로 감성에 따른 미세 움직임의 동기화 현상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험은 Leader와 Follower로 구성된 두 사람을 기준으로 한다. 피험자가 제시된 표정을 모방하는 태스크를 수행하는 동안 각 피험자의 얼굴 영상을 촬영하였다.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얼굴을 11부위로 나누어 각 부위의 움직임의 양을 구하고, 포락선(Envelop)정리를 적용하여 중앙값을 구하였다. 두 피험자의 긍정(Happay)과 부정(Anger) 감성에 따른 미세 움직임의 동기화 정보를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얼굴부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영상을 이용한 얼굴 미세 움직임의 양을 통해 두 사람의 동기화된 감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미세 움직임, 얼굴 영상, 동기화
Reference
이유진, 우진철, 조영호, 최호중, 황민철 (2016). 감성에 따른 두 사람의 얼굴 미세움직임 동기화 현상. HCI Korea 2016, 364-366.